본문 바로가기
C#

[C#] 상수, 열거 형식

by emforl 2023. 6. 8.
728x90
반응형

상수, 열거 형식: 선언한 이후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는 메모리 공간


  • 상수(선언할 때 반드시 값을 대입하여야 한다)

- 선언 형식

const 자료형 상수명 = 값;

 

예제 프로그램

const int MAX_INT = 2147483647;
const int MIN_INT = -2147483648;

Console.WriteLine(MAX_INT);
Console.WriteLine(MIN_INT);

결과


  • 열거 형식(여러 개의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)

- 선언 형식

enum 열거 형식명 : 기반 자료형 { 상수1, 상수2, 상수3, ...}

기반 자료형은 정수 계열(byte, sbyte, short, ushort, int, uint, long,ulong, char)만 사용 가능

생략할 경우 int 자료형 사용

선언 후 첫 번째 요소: 0, 두 번째 요소: 1,... 0부터 1씩 증가된 값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할당

 

예제 프로그램

enum DialogResult { YES, NO, CANCEL, CONFIRM, OK}
//열겨 형식 상수 선언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	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YES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NO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CANCEL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CONFIRM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OK);
}

결과

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값을 대입하는 것도 가능

 

예제 프로그램

enum DialogResult { YES=10, NO, CANCEL, CONFIRM=50, OK}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	//프로그래머가 값을 할당한 이후에는 1씩 더한 값으로 자동 할당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YES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NO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CANCEL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CONFIRM);
    Console.WriteLine((int)DialogResult.OK);
}

결과

 

- 열거 형식의 변수 선언

 

예시

DialogResult result = DialogResult.YES;

 

예제 프로그램

enum DialogResult { YES, NO, CANCEL, CONFIRM, OK}
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	//DialogResult열거 형식의 변수를 선언하여 값을 대입
    DialogResult result = DialogResult.YES;

    Console.WriteLine(result == DialogResult.YES);
    Console.WriteLine(result == DialogResult.NO);
    Console.WriteLine(result == DialogResult.CANCEL);
    Console.WriteLine(result == DialogResult.CONFIRM);
    Console.WriteLine((result == DialogResult.NO)+", "+DialogResult.NO);
}

결과

728x90
반응형

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#] var  (0) 2023.06.09
[C#] Nullable 형식  (0) 2023.06.08
[C#] 데이터 형식 변환  (0) 2023.06.07
[C#] object 형식  (0) 2023.06.07
[C#] 논리 형식  (0) 2023.05.26